본문 바로가기
Feedback Loop (경제)

메타버스(metaverse), 차세대 가상우주 이해하기

by JDU&DU 2021. 11. 7.

페이스북이 최근 사명을 메타(Meta)로 바꾸면서 도래할 메타버스 미래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미국 빅 테크 기업 중 하나가 사명까지 바꿔가면서 얻으려고 하는 메타버스란 과연 무엇일까요.

 

 

 

 

 

 

메타버스(metaverse)가 아닌 것은

 

한 방에 메타버스(metaverse)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은 아직 존재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메타버스라는 것이 아직 존재하지 않고 이제 막 만들어지고 개발되고 있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메타버스라는 개념이 확실하게 확립되고 진화를 거듭하는 미래라고 해도 메타버스를 확실하게 정리할 수 있는 명료한 개념은 없을 것입니다. 마치 지금의 인터넷의 개념도 계속해도 진화하고 바뀌고 있는 것처럼 말이죠.

 

 

 

그럼에도 이를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이유는 이 개념, 이 새로운 세상 안에 다양한 기회와 미래가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메타버스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 역으로 무엇이 메타버스가 아닌지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 하나의 상품(product)
  • 하나의 게임(game)
  • 소수 기업에 의해 만들어지고 운영되는 세계

메타버스는 차세대 인터넷(next-generation Internet)이라고 불리는 만큼 위의 세 가지 경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인터넷은 하나의 상품, 게임, 혹은 소수 기업에 의해 운영되는 세계가 아닌 것처럼 말이죠. (물론 그 세계 안에서 막강한 지배력과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은 있습니다만...)

 

 

 

 

 

 

메타버스(metaverse) 이해하기

 

그렇다면 메타버스를 어떻게 정리하고 이해할 수 있을까요. 메타버스는 현재 인간이 창조하고자 하는 "온라인 세상의 우주"를 의미합니다. 실은 우리가 이미 창조한 온라인 우주가 존재합니다. 바로 인터넷이죠.

 

 

지금 이 글이 온라인상으로 전파되고 사람들에게 읽혀지듯이 수많은 활동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죠. 쇼핑을 하거나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 수업을 듣고 학습하는 것, 업무를 진행하고 돈을 버는 것 등 거의 모든 일들을 다 인터넷을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처음부터 인터넷으로 이런 모든 활동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시간이 흐르고 기술이 더욱 개발되면서 차차 오늘날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이죠.)

 

 

차세대 인터넷이라고도 불리는 메타버스는 이제 인터넷이 가지는 한계를 더 넘어서는 온라인/가상 우주를 만들 수 있다는 인간의 자신감에서 비롯된 움직임일 것입니다. 인터넷은 컴퓨터나 태블릿 PC,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라는 물리적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마이크라는 고전적인 입출력 장치를 이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고전 입력장치

 

또 인터넷 기반으로 주어지는 다양한 서비스들은 철저하게 경계선이 지어져 있으며 이 때문에 현재의 인터넷이 제공하는 경험은 매우 분절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새로운 기술/기능을 통해 위의 한계를 뛰어넘으면서 인터넷을 대체하는 새로운 인터넷이 되려고 하는 것이 바로 메타버스 세계인 것이죠. 앞서 언급했던 고전적인 입출력 장치를 벗어나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세계이기도 합니다. 구글, 메타(페이스북), 아마존 등이 VR 고글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에 매진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메타버스, 입력장치 진화

 

 

그렇다면 현재 메타버스가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기술/기능적 요소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온라인 화상회의
  • 게임
  • 가상화폐
  • 이메일
  • 가상현실/증강현실
  • 소셜미디어
  • 라이브 스트리밍
  • 이커머스(온라인 상거래)

위에 나열한 기술/기능 항목들은 사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지금도 충분히 잘 활용하고 있는 것들입니다. 메타버스는 "세계"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이러한 기술/기능들을 좀 더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이어질 수 있도록 호환성을 갖추고 접근성을 대폭 확대하는 시도입니다. 지금은 각자 분절된 상태로 제공되는 항목들을 통합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관건이죠.

 

그리고 만약 이러한 기술/기능들이 통합되어 제공하는 세계가 탄생한다면 정말로 현실세계를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는 그러한 세계가 탄생할 지도 모릅니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으로도 충분히 재택근무, 재택수업 등 어느 정도 현실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메타버스는 이러한 현실 대체 기능을 본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될 것입니다.

 

 

 

 

 

 

 

 

메타버스 세계는 어떤 모습?

 

"A"씨는 3D 아바타를 제작하는 직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에 아바타 관련 아이템들을 제작해서 제공하고 있죠. 이 아바타들은 사람들이 화상회의를 할 때 사용되는 아바타입니다.

 

일을 마친 "A"씨는 온라인 콘서트장 입장권을 구매해 친구와 함께 보기로 했습니다. "A"씨가 화상회의를 할 때 사용하던 아바타는 온라인 콘서트장에서도 호환이 되어 똑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콘서트장 입장권 역시 메타버스 플랫폼 안에서 QR코드로 간단하게 결제해서 구매한 것입니다.

 

콘서트 관람을 마친 A씨는 곧장 쇼핑몰로 입장합니다. 쇼핑몰 내에서도 아바타는 당연하게도 호환됩니다. 아바타의 옷을 좀 바꾸기 위해서 몇 가지 아바타 옷을 구매합니다. A 씨가 직접 만들어도 되지만 굳이 일을 더 하고 싶지 않아 구매하는 것이죠.

 

아바타가 쇼핑을

 

이렇게 구매한 아바타의 옷은 역시 화상회의 프로그램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혹은 누군가에게 대여해주거나 되팔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이 옷은 자체 NFT기능으로 복제될 수 있는 오리지널이기 때문이죠. 이렇게 A 씨의 온라인 세상에서의 하루가 흘러갑니다.

 

 

 

 

 

 

 

메타버스 구현에 가장 필수적인 인터넷 통신 속도

 

세컨드라이프(Second Life)라는 온라인 세상이 출시된 적이 있었습니다. 때는 2003년이었는데요. 하지만 당시 인터넷은 이 세상을 제대로 지원해줄 수가 없었죠. 실시간으로 연동되고 상호작용하는 세상을 꿈꿨지만 기술적 한계에 부딪혔고 이 세상은 이내 사람들의 흥미를 떨어지게 만들었습니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4G, 그리고 한참 보급 중인 5G 환경에서는 어떨까요. 포트나이트(Fortnite)나 배틀그라운드(Battleground)와 같은 게임은 4G나 5G에서도 구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가상 우주인 메타버스를 기술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개선된 5G, 그리고 더 나아가 5G보다도 최대 100배 더 빠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6G가 필요합니다. 집과 직장에서 수 천만명, 혹은 수 억 명이 한 번에 발생시키는 트래픽과 데이터를 제대로 처리하기 위함입니다.

 

5G 그리고... 6G

 

6G 구현은 아직 수년의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한국은 그나마 빠르게 5G가 보급되고 있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기도 하죠. 즉 아직 전 세계적으로 4G(LTE)가 대세인 것입니다. 메타버스가 필요로 하는 6G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려 2세대나 점프를 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